경피적 심폐순환보조 , 경피적 심폐체외순환 (3) 적응증
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
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
Link > 심폐체외순환의 원리
심폐체외순환의 종류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1)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2)
1. PCPS (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) 의 적응증
1) 부분 심폐체외순환 ( 심폐순환보조) 으로서 말 그대로 심장 (心臟 ,heart) 과 폐 (肺, lung) 를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.
2) 심장 -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의 일부를 빼내서 산소화(oxygenation) 과정을 거쳐 다시 동맥으로 밀어 넣어 줍니다.
- 심장이 약해지면 각 장기로 혈액을 보내주는 일에 장애가 생기는데.. 기계의 힘을 빌어 적당한 압력과 빠른 속도의 혈
류를 동맥으로 넣어주어 심장기능의 일부를 대신하여 여러 조직으로 높은 산소포화도의 혈액을 줄 수 있습니다.
3) 폐 -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액의 일부를 빼내서 산소화(oxygenation) 과정을 거쳐 다시 혈관으로 밀어 넣어 주게 되는
데, PCPS 의 oxygenator 를 통과한 혈액은 혈액내 산소분압이 400-500mmHg (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.) 로 폐손상이
심한 환자에서 (또한 심장부전이 있으면 폐부종으로 인해 폐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) 폐기능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.
3) 심장 보조의 관점에서 적응증
①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압이 유지가 안되는 위급한 상황에서 Stent 치료의 보조
②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stent 치료의 실패... 혈압이 유지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..==> PCPS
③ 급성 심장마비
④ 조절되지 않는 부정맥
⑤ 심장수술 후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
⑥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이식 전
⑦ 급성 심근염 : 질환의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급격하게 심장기능의 악화가 오는 경우 사망율이 매우 높습니다.
이외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.
4) 호흡 보조의 관점에서 적응증
①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(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, ARDS )
② 호흡 기능부전 : 천식의 급성 악화 (Asthma) , 폐혈전색전증 ( pulmonary thromboembolism) 등등
③ 폐 및 기관지 수술시 호흡보조
2. 심장기능 부전 환자에서 PCPS 의 역할 ( Inotropics 약물투여 , IABP 와의 비교 )
10m x 10m 크기의 밭을 갈아야 하는 소에 비유를 하겠습니다.
만일 소 ( 심장 , heart) 가 병들어서 제대로 밭을 갈지 못하는 경우
1) Inotropics ( 심장보조 약물 ) 의 투여
- 소에 채찍질을 가해서 정해진 양의 일 ( 10 x 10 m 의 밭 갈기 ) 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. 만약 어느 정도 힘이 남아 있다면...
이런 방법으로 목적한 일을 달성할 수 있겠습니다.
- 즉, 심장을 열심히 잘 뛰게 하는 약물을 주어 약해진 심장이 약발로 잘 뛸 수 있게 해 주는 것입니다.
심장의 기능이 돌아오게 되면 약을 서서히 줄일 수 있습니다.
2) IABP ( 기회가 되면 원리에 대해서 글을 올리겠습니다.)
- 소가 일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밭에 있는 장애물을 치워 주고.. 중간중간에 여물을 주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.
그러나 소가 10 x 10m 의 밭을 갈아야 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.
- 심장의 이완기에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를 증가시켜 심장에 산소를 공급해주고... 수축기에는 혈관저향을 닞추어 주어 심장
이 편하게 뛸 수 있도록 해줍니다.
- 쨋든 심장 자체가 정해진 양의 일을 해야만 하는 것이므로 PCPS 보다는 혈역학적 보조의 능력은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.
-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.. PCPS 에 비해....
3) PCPS (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)
- 최신 기종의 밭을 가는 기계를 가지고 와서 5m x 10m 의 밭 ( 절반 정도의 밭 ) 을 대신 갈아 주는 것입니다.
- 심장이 해야하는 일의 반 이상을 대신해 주는 것이고... 실질적으로 혈액의 흐름을 생성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혈역학적 보조의
능력은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.
심폐체외순환의 종류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1)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2)
1. PCPS (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) 의 적응증
1) 부분 심폐체외순환 ( 심폐순환보조) 으로서 말 그대로 심장 (心臟 ,heart) 과 폐 (肺, lung) 를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.
2) 심장 -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의 일부를 빼내서 산소화(oxygenation) 과정을 거쳐 다시 동맥으로 밀어 넣어 줍니다.
- 심장이 약해지면 각 장기로 혈액을 보내주는 일에 장애가 생기는데.. 기계의 힘을 빌어 적당한 압력과 빠른 속도의 혈
류를 동맥으로 넣어주어 심장기능의 일부를 대신하여 여러 조직으로 높은 산소포화도의 혈액을 줄 수 있습니다.
3) 폐 -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액의 일부를 빼내서 산소화(oxygenation) 과정을 거쳐 다시 혈관으로 밀어 넣어 주게 되는
데, PCPS 의 oxygenator 를 통과한 혈액은 혈액내 산소분압이 400-500mmHg (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.) 로 폐손상이
심한 환자에서 (또한 심장부전이 있으면 폐부종으로 인해 폐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) 폐기능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.
3) 심장 보조의 관점에서 적응증
①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압이 유지가 안되는 위급한 상황에서 Stent 치료의 보조
②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stent 치료의 실패... 혈압이 유지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..==> PCPS
③ 급성 심장마비
④ 조절되지 않는 부정맥
⑤ 심장수술 후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
⑥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이식 전
⑦ 급성 심근염 : 질환의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급격하게 심장기능의 악화가 오는 경우 사망율이 매우 높습니다.
이외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.
4) 호흡 보조의 관점에서 적응증
①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(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, ARDS )
② 호흡 기능부전 : 천식의 급성 악화 (Asthma) , 폐혈전색전증 ( pulmonary thromboembolism) 등등
③ 폐 및 기관지 수술시 호흡보조
2. 심장기능 부전 환자에서 PCPS 의 역할 ( Inotropics 약물투여 , IABP 와의 비교 )
10m x 10m 크기의 밭을 갈아야 하는 소에 비유를 하겠습니다.
만일 소 ( 심장 , heart) 가 병들어서 제대로 밭을 갈지 못하는 경우
1) Inotropics ( 심장보조 약물 ) 의 투여
- 소에 채찍질을 가해서 정해진 양의 일 ( 10 x 10 m 의 밭 갈기 ) 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. 만약 어느 정도 힘이 남아 있다면...
이런 방법으로 목적한 일을 달성할 수 있겠습니다.
- 즉, 심장을 열심히 잘 뛰게 하는 약물을 주어 약해진 심장이 약발로 잘 뛸 수 있게 해 주는 것입니다.
심장의 기능이 돌아오게 되면 약을 서서히 줄일 수 있습니다.
2) IABP ( 기회가 되면 원리에 대해서 글을 올리겠습니다.)
- 소가 일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밭에 있는 장애물을 치워 주고.. 중간중간에 여물을 주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.
그러나 소가 10 x 10m 의 밭을 갈아야 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.
- 심장의 이완기에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를 증가시켜 심장에 산소를 공급해주고... 수축기에는 혈관저향을 닞추어 주어 심장
이 편하게 뛸 수 있도록 해줍니다.
- 쨋든 심장 자체가 정해진 양의 일을 해야만 하는 것이므로 PCPS 보다는 혈역학적 보조의 능력은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.
-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.. PCPS 에 비해....
3) PCPS (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)
- 최신 기종의 밭을 가는 기계를 가지고 와서 5m x 10m 의 밭 ( 절반 정도의 밭 ) 을 대신 갈아 주는 것입니다.
- 심장이 해야하는 일의 반 이상을 대신해 주는 것이고... 실질적으로 혈액의 흐름을 생성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혈역학적 보조의
능력은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.
'심폐체외순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동경희대병원 PCPS 증례 (1) - 급성 심근염 ( Acute myocarditis ) 으로 입원한 환자 (1) (0) | 2012.04.08 |
---|---|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4) 강의자료 Prezi (0) | 2012.04.08 |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2) (0) | 2012.04.02 |
경피적 심폐순환보조 ( 경피적 심폐체외순환,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, PCPS ) (1) (5) | 2012.03.28 |
심폐체외순환의 종류 (0) | 2012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