복부 대동맥류 (Abdominal aortic aneurysm, AAA) (1) 질환의 정의
< Link > 2012/01/18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의 구조 - 상행대동맥 과 대동맥궁
2012/01/18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의 구조 - 흉부대동맥 과 복부대동맥
1. 대동맥류( Aortic Aneurysm ) 의 정의
대동맥류 ( Aortic Aneurysm )는 정상적인 대동맥의 내경이 확장되는 질병으로서, 일반적으로 정상 내경의 1.5배 이상이
확장된 경우를 대동맥류라고 정의합니다. 그 모양에 따라서 방추상형(fusiform) 혹은 낭포형(saccular)으로 나누기도 하며, 그
위치에 따라서는 복부대동맥류혹은 흉부대동맥류 (상행 대동맥류, 대동맥궁 대동맥류, 하행 흉부대동맥류) 로 분류합니다. 그러
나 일반적으로 복부대동맥류 ( 80%) 가 흉부대동맥류에 비해 현저히 많아, 주된 호발 부위는 복부대동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출처 : 국가건강정보포털
2. 복부 대동맥류 ( Abdominal AorticAneurysm, AAA )
1) 복부대동맥류란 복강 내에 있는 모든 장기 및 양쪽 하지로 혈액을 공급하는 복부대동맥이 정상 직경보다 1.5배 이상 증가하는 것
을 말합니다. 정상 직경은 2cm 내외이기 때문에 보통 직경이 3cm이상이면 대동맥류라고 합니다. 집에서 사용하는 고무호스(?)
가 늘어나면 사용하면서도 이게 터지지는 않을까 걱정하실 겁니다. 복부대동맥류도 마찬가지로 혈관이 부풀어 커지면서 동맥벽
이 가늘어지고 약해지기 때문에 파열이 될 위험성이 있고, 이는 사망에 이르는 매우 치명적인 합병증입니다. 직경이 4.5cm 이하
면 파열의 가능성은 낮지만 직경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파열의 가능성은 높아집니다.
출처 : nlm.nih.gov
2) 연령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,보통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. 남자는 55세부터, 여자는 70세부터 급격
히 증가하는데, 여자보다 남자에서 약 5-10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65세 이상의 남자를 복부 초음파로
검사하면, 약 4-9%에서 복부대동맥류가 발견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.
3)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03년에 1086명, 2005년 1436명, 2007년 2262 명, 2009년 3162명 으로 최근 6년동안 복부대동맥
류의 진단이 2-3배 정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는 과거에 비해 스크리닝 검사(선별검사)가 많아지고 다른 질병의 검사를 위한
복부CT와 같은 영상검사에 의해 복부대동맥류의 우연한 발견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, 실제로 복부대동맥류의
유병률 자체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대부분의 의견입니다.
4) 만약 대동맥류가 파열이 되면 90% 이상의 환자가 사망에 이릅니다. 따라서 직경이 5cm 이상이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.
그러나 최근에는 스텐트-그래프트 삽입술이 소개되면서 중재적 시술을 통해 개복하지 않고 간단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.

대동맥류 ( Aortic Aneurysm )는 정상적인 대동맥의 내경이 확장되는 질병으로서, 일반적으로 정상 내경의 1.5배 이상이
확장된 경우를 대동맥류라고 정의합니다. 그 모양에 따라서 방추상형(fusiform) 혹은 낭포형(saccular)으로 나누기도 하며, 그
위치에 따라서는 복부대동맥류혹은 흉부대동맥류 (상행 대동맥류, 대동맥궁 대동맥류, 하행 흉부대동맥류) 로 분류합니다. 그러
나 일반적으로 복부대동맥류 ( 80%) 가 흉부대동맥류에 비해 현저히 많아, 주된 호발 부위는 복부대동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2. 복부 대동맥류 ( Abdominal AorticAneurysm, AAA )
1) 복부대동맥류란 복강 내에 있는 모든 장기 및 양쪽 하지로 혈액을 공급하는 복부대동맥이 정상 직경보다 1.5배 이상 증가하는 것
을 말합니다. 정상 직경은 2cm 내외이기 때문에 보통 직경이 3cm이상이면 대동맥류라고 합니다. 집에서 사용하는 고무호스(?)
가 늘어나면 사용하면서도 이게 터지지는 않을까 걱정하실 겁니다. 복부대동맥류도 마찬가지로 혈관이 부풀어 커지면서 동맥벽
이 가늘어지고 약해지기 때문에 파열이 될 위험성이 있고, 이는 사망에 이르는 매우 치명적인 합병증입니다. 직경이 4.5cm 이하
면 파열의 가능성은 낮지만 직경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파열의 가능성은 높아집니다.
2) 연령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,보통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. 남자는 55세부터, 여자는 70세부터 급격
히 증가하는데, 여자보다 남자에서 약 5-10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65세 이상의 남자를 복부 초음파로
검사하면, 약 4-9%에서 복부대동맥류가 발견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.
3)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03년에 1086명, 2005년 1436명, 2007년 2262 명, 2009년 3162명 으로 최근 6년동안 복부대동맥
류의 진단이 2-3배 정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는 과거에 비해 스크리닝 검사(선별검사)가 많아지고 다른 질병의 검사를 위한
복부CT와 같은 영상검사에 의해 복부대동맥류의 우연한 발견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, 실제로 복부대동맥류의
유병률 자체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대부분의 의견입니다.
4) 만약 대동맥류가 파열이 되면 90% 이상의 환자가 사망에 이릅니다. 따라서 직경이 5cm 이상이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.
그러나 최근에는 스텐트-그래프트 삽입술이 소개되면서 중재적 시술을 통해 개복하지 않고 간단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.

'심장혈관질환 > 대동맥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동맥류 - 복부 대동맥류 (Abdominal aortic aneurysm, AAA) (3) 진단 및 치료 (1) | 2012.02.26 |
---|---|
대동맥류 - 복부 대동맥류 (Abdominal aortic aneurysm, AAA) (2) 원인 및 병태생리 (0) | 2012.02.26 |
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예정) (0) | 2012.01.26 |
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0) | 2012.01.25 |
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0) | 2012.0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