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란 무엇인가...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의 분류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의 영상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1) 합병증
2012/01/19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2) 경과
Stanford A : 상행대동맥에 박리가 있는 경우.. 수술적 치료 를 하는 경우...
Stanford B : 상행대동맥에 박리가 없는 경우..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는 경우,,,
1) A형 대동맥 박리와 비교하여 급성 합병증이 적고, 사망율이 높지 않습니다.
2)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도
1개월 이상 생존할 확률 : 75% 이상
3) 참고로 A형 (상행대동맥) 대동맥 박리는 치료받지 않고 1개월 이상 생존할 확률이 5~8 % 입니다.
2. 약물치료만 시행할 경우 B형 대동맥 박리의 경과
1) 약물 치료 : 혈압 조절 + 심박수 조절
2) 내과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 1년 생존율 : 70~80%
3) 수술적 치료와 생존율에 큰 차이가 없어 1차적인 치료는 약물치료 입니다.
찢어질 듯한 극심한 통증이 갑자기 시작되는데, 보통 견갑골 주위로 등에서 통증이 나타나고 박리의 진행에 따라 통증 부위가 옮
겨갈 수 있습니다. 발한이 동반되기도 합니다. 통증이 조절이 되지 않으면, 악성 경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수술적 치료
또는 방사선 중재 시술(Intervention , 스텐트 삽입술 ) 을 시행하게 됩니다. 물론 조절되지 않는 통증은 혈압 조절에 영
향을 미치고 급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통증의 조절이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.
2. 급성 대동맥 확장, 대동맥류로의 변화
1) 처음 진단 당시 대동맥의 직경이 (가성내강 false lumen + 진성내강 true
lumen)
2) 대동맥 박리의 문제점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파열된 내막을 통해 높은 압력의
혈액이 통하기 때문에 혈관벽이 상대적으로 얇은 가성 내강의 확장을 유발할
수 있습니다. 확장이 되거나 대동맥류 (aneurysm) 로의 변화가 생기면
혈관 파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 또는 방사선 중재 시술을 시
행하게 됩니다.
3) 대동맥의 직경 : 수술을 요하는 확장된 직경에 대하여는 명확하게 제시된
것이 없습니다.
진단시 약물치료를 시행하고..(물론 당장 파열의 위험이 있으면 수술 합니다.)
경과를 관찰하여 (1개월-6개월-1년 후 CT 확인 ) 대동맥이 커지면 적극적인 치료 고려....
3. 대동맥의 박리 범위의 증가
4. 대동맥의 파열 - 급성 대량 출혈로 급사의 위험성이 있습니다.
5. 중요한 혈관분지의 폐색 ( Malperfusion syndrome )
(A형 대동맥 박리에서 오른 팔머리 동맥의 폐색이 생기는 영상입니다. 비슷한 기전이니 참고하세요)
1) 척수로 가는 혈관의 폐색
: 하지마비 가 생길 수 있습니다.
2) 콩팥으로 가는 혈관의 폐색 : 신부전
3) 장으로 가는 혈관의 폐색 : 장 괴사
4) 다리로 가는 혈관의 폐색 : 하지의 허혈성 손상
< Link >
2012/01/25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예정)
2012/01/26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예정)
'심장혈관질환 > 대동맥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예정) (0) | 2012.01.26 |
---|---|
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0) | 2012.01.25 |
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2) 경과 (0) | 2012.01.19 |
대동맥의 구조 - 흉부대동맥 과 복부대동맥 (0) | 2012.01.18 |
대동맥의 구조 - 상행대동맥 과 대동맥궁 (0) | 2012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