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2) 경과
< Link > 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란 무엇인가...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의 분류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의 영상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1) 합병증
Stanford A : 상행대동맥에 박리가 있는 경우.. 수술적 치료 를 하는 경우...
Stanford B : 상행대동맥에 박리가 없는 경우..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는 경우,,,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의 분류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급성 대동맥 박리의 영상
2012/01/17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1) 합병증
Stanford A : 상행대동맥에 박리가 있는 경우.. 수술적 치료 를 하는 경우...
Stanford B : 상행대동맥에 박리가 없는 경우..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는 경우,,,
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 (Stanford A acute aortic dissection) 의 경과
1.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A형 대동맥 박리의 경과
1)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의 발생으로 사망율이 매우 높습니다.
2)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
48시간 내에 사망할 확률 : 50 %
1주일 (~1개월) 내에 사망할 확률 : 90% 이상
3) 참고로 B형 (하행대동맥) 대동맥 박리는 치료를 받지 않고 1년 후 사망할 확률은 25~30% 정도임.
2. 약물치료만 시행할 경우 A형 대동맥 박리의 경과
1) 약물 치료 : 혈압 조절 + 심박수 조절
2) 뚜렷하게 사망율을 감소시키지 못합니다.
대동맥 박리의 수술 사망율이 10~20 % 이므로, A 형 대동맥 박리의 악성 경과를 고려하여 응급수술이 치료 원칙이 됩니다.
< Link >
2012/01/25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
2012/01/25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예정)
2012/01/26 - [심장혈관질환/대동맥질환] - 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예정)
'심장혈관질환 > 대동맥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원칙 (0) | 2012.01.25 |
---|---|
대동맥박리 - B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0) | 2012.01.25 |
대동맥의 구조 - 흉부대동맥 과 복부대동맥 (0) | 2012.01.18 |
대동맥의 구조 - 상행대동맥 과 대동맥궁 (0) | 2012.01.18 |
대동맥박리 - A형 급성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과 경과 (1) 합병증 (0) | 2012.01.17 |